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감염병 주의] 국내 확진자 확인, 원숭이두창 증상 및 감염경로 확인

by 민물가재 2022. 6. 22.
반응형

국내 첫 원숭이두창 확진자가 나오면서,

감염당국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첫 확진자는 독일에서 입국한 한국인으로

의심신고 후 격리하여 고위험 접촉자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원숭이두창의 주요 증상

감염경로 등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원숭이두창이란?

원숭이두창(Monkeypox)은 원숭이두창바이러스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희귀질환입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원숭이 두창은

1958년 원숭이들에게서 수두와 비슷한 질병이

처음 발견되어 원숭이두창이라 불렸습니다.

 

원래는 1970년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처음 보고되어 

아프리카의 풍토병이었으나, 최근 유럽을 중심으로

발병하기 시작하였고, 풍토병이 아닌 국가에서

발생함에 따라 국내 유입 가능성이 증가하였습니다.

따라서 2022년 6월, 2급감염병으로 지정하였습니다.

 

 2. 원숭이두창 주요 증상 

우선 원숭이두창에 감염될 경우, 정도에 따라

경증에서 중증까지 다양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감염이 되었다면 우선 1-2주간 잠복기가 있습니다.

잠복기가 지나면 38℃ 이상의 급성 발열과 함께

두통, 근육통, 피로감이 동반되며 

1-3일 후 얼굴을 중심으로 발진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후 신체 다른 부위까지 발진은 확산합니다.

그리고 림프절 부종이 주요 증상으로 나타나고

2-4주간 증상이 지속됩니다.

증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잠복기: 5~21일(평균 7~14일)
- 임상증상: 발열, 두통, 근육통, 요통, 림프절 부종,
오한, 피로, 발진(발열 후 약 1~3일이내)
- 치명률 : 일반적으로 약 1~10%로 알려져 있으며,
WHO에 따르면 치명률은 3~6%로 보고되고 있음

 

질병관리청

위 사진은 질병관리청에서 정리한

타 피부질병과의 차이를 정리한 이미지입니다.

 

 

 3. 원숭이두창 감염경로

원숭이두창은 인수공통감염병입니다.

따라서 바이러스에 감염된 동물*,

감염된 사람, 바이러스에 오염된 물질

접촉할 경우 감염될 수 있습니다.

(*쥐, 다람쥐, 프레리도그와 같은 설치류 및 원숭이 등)

 

 

또한 태반을 통해서도 감염이 가능하므로

감염된 모체에서 태아로 감염 가능합니다.

 

감염경로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비말) 코, 쿠강, 인두, 점막, 폐포에 있는 감염비말에 의한 사람간 직접 전파


- (피부병변 부산물) 감염된 동물·사람의 혈액, 체액, 피부, 점막병변과의 직간접 접촉


- (매개물) 감염환자의 체액, 병변이 묻은 매개체(린넨, 의복 등) 접촉을 통한 전파


- (공기) 바이러스가 포함된 미세 에어로졸을 통한 공기전파가 가능하나 흔하지 않음

 

 

 

 

 

현재 예방백신은 따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스스로가 접촉을 피하고, 손씻기를 생활화해야

바이러스에서 피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코로나가 끝났지만 다른 질병이 생겨

마스크를 벗기에는 아직 무리가 있어보입니다.

 

가족의 안전과 건강을 위해

원숭이두창에 대한 최신 정보를 계속해서

확인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반응형

댓글